이번 주제는 오래 11월3일에 있을 미국 대통령 총선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미 대선 결과는 세계 경제와 정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만큼 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현직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는 경우는 매우 예외적이지만
예상을 깨고 당선되며 대중의 호불호가 명확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은 예상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역대 재선 실패한 미 대통령
1970년대 이후 4년의 임기만 마치며 재선에 실패한 대통령들은
1970년대 역임하며 대공황 이후 가파른 인플레이션과 경기 후퇴를 겪은 제럴드 포드, 포드 대통령을 이기고 당선되었지만 경기 후퇴를 잡지 못하고 이란의 미 대사관 인질 사건에 발목이 잡힌 지미 카터, 조지 H .W 부시 대통령 3명 뿐이였습니다.
반전의 반전
2019년 7월 대선을 1년 4개월정도 앞두고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의 유력 대선 후보인 바이든 전)부통령에 53:40으로 13% 밀리고 버니 샌더슨 상원의원에게는 9% 나머지 민주당 후보 5명에게도 약 5% 뒤쳐졌습니다.
하지만 2016년 대선 당시에도 대부분의 여론조사들은 마지막까지 힐러리의 당선이 되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판을 뒤집고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됬기 때문에 몇몇 대중들은 그래도 트럼프가 재선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재선 여부를 가를 가장 큰 변수
역대 재선을 실패한 대통령들의 특징을 보면 경제에 관한 사건이 하나씩 끼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트럼프 대통령이 끌어올린 미국의 경제 상황을 뽑을 수 있죠.
10년이 넘게 강세를 이어온 미국 시장이 이제는 여러 문제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애널리스트들은 말하고 있죠.
사실 2017년부터 이런 예상은 계속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FED)에 기준금리 인하를 대놓고 압박하고 다른 나라들에 대한 관세 폭탄과 미,중 무역 전쟁으로 경제를 올렸기 때문에 탈 없이 흘러갔었습니다.
최근 미국 증시와 시장이 가져오는 트럼프 재선 가능성
앞서 말한 경제를 끌어 올린 트럼프 대통령이기에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트럼프 재선 가능성에 대한 3가지 경제모델을 보면 그는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재선에 성공할것이라 했습니다.
3가지 경제모델은
1.소비자들이 자신의 재정상황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2.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중 증시상승률
3.50년만에 기록되는 최저치의 실업률 전망 입니다.
미국에 거주하고 있지 않기에 1번은 잘 모르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기간 중 증시는 사상 최고가
를 찍으며 올라가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중 하나인 미국 기업들의 감세 정책으로 대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오며 실업률 또한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19년 9월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안이 추진되며 재선 실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재선에 성공 할 것 같습니다.
미국 투자를 하고 있는 입장에서의 재선은 좋지만 주변 국가를 하염없이 때리며 미국에 도움 되지 않으면 절대 하지 않고 대한민국도 예외 없이 괴롭히는 입장에서는 재선이 안됬으면 하는 마음도 듭니다.
한편으로는 미국이 얼마나 강대국이면 아시아에 있는 작은 나라(?)의 국민도 트럼프의 재선에 관심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업 분석 > 투자,경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지역화폐 사용방법/발급방법(재테크 추천, 알뜰 소비) (2) | 2020.03.28 |
---|---|
GDP 란?[쉽게 이해하는 경제 공부] (0) | 2020.03.27 |
내가 주식 투자를 시작한 이유- 경제적 자유를 향해 (4) | 2020.03.25 |
인플레이션 이란? (원인 분석) [쉽게 이해하는 금융,경제 공부] (4) | 2020.03.24 |
디플레이션(deflation) 이란?(원인, 분석)[쉽게 이해하는 금융,경제 공부] (0) | 2020.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