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기업의 재무제표와 함께 관심을 갖고 많이 보게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PER, PBR입니다.
기업 분석을 하면서도 이 기업의 PER이 몇이니 저평가가 되었다, 너무 고평가다 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죠.
그럼 PER은 무엇일까요?
우선 PER부터 알아보자.
PER은 주가 수익비율(Price Earnig Ratio)로 흔히 퍼(PER)로 불리며 이 기업이 주식 가치가 비싼지 주식시장의 가치가 거품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주가/주당순이익으로 주가가 1만 원일 때 기업이 주당 1천 원의 순이익을 내면 PER은 10이 되는 것입니다.
주식으로 수익률을 얻는 방법은 매도 차익과 기업에서 주는 배당금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장기투자자(망하지 않는다는 기업에 투자를 가정)는 배당금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건 당연한 것이고 배당금을 많이 주는 기업에 투자를 하려 할 겠죠?
배당금을 많이 주려면? 쉽게 생각해 기업이 돈을 잘 벌어야 합니다.
똑같은 주가를 가진 A, B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같은 주가지만 주당 순이익은 B 기업(2000원)이 A 기업(1000원)보다 1000원을 더 벌고 있습니다.
주당 순이익을 절반을 배당금으로 준다면 당연히 B 기업에 투자를 할 것입니다.
여기서 PER을 구하는 식에 대입해보면 B 기업(PER:5), A 기업(PER:10)이 나오게 되며 회사의 가치가 높은지 낮은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그럼 왜 A 기업은 주당 순이익도 낮은데 주가는 똑같을까?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 실제로 거품이 껴 있을 수도 있지만 미래 성장 가능성, 기업의 경쟁력, 일시적 투자 확대 등이 있고 A 회사는 대기업으로 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가치가 올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PER의 수치만으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긴 힘들며 동종업종, 다른 기업, 시장의 비교도 함께 해줘야 한다.
PER의 평가는 상대적이다.
앞서 말했듯 같은 업종, 비슷한 규모의 경쟁사 등 비교할 평가대상이 있어야 한다.
실제로 PER은 유통업, 제조업, 서비스업, 신산업 등 업종별로 수치나 패턴이 다릅니다.
또 비슷한 규모의 경쟁기업이 없거나 잘 모를 경우 동종업종의 평균 PER을 참고하는 것도 좋죠.
예를 들어 A의 기업의 PER이 10이고 동일 업종의 평균 PER이 8일 경우 다소 고평가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R의 평가만 생각해서 투자를 하면 안되며 순이익도 함께 봐야 한다.
PER의 계산할 때 순이익은 언제를 기준으로 하는지도 잘 봐야 합니다. 보통 작년 순이익을 기준으로 한죠.
하지만 이 기준으로 한 평 가는 과연 맞는 걸까요?
만약 현재 순이익이 계속 증가하거나 떨어지고 있다면 확실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순이익으로 계산을 하는 게 정확하겠지만 현재 기업의 순이익을 정확히 알기엔 어렵다 그래서 대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하는 '추정 순이익'입니다.
PER이 낮은 주식은 수익률이 높다'라는 사실로 훌륭한 투자전략을 쓰는 전문투자자들이 있다.
위대한 투자가이자 투자 하나만으로 세계에서 손꼽는 부호로 잘 알려진 '워렌 버핏'과 '데이비드 드레먼'이 있습니다.
워렌 버핏은 사실 역발상 투자전략을 쓴다기보단 확고한 자기의 신념으로 투자를 하시는 분이지만 데이비드 드레먼은 이 투자전략으로 운용하는 펀드는 장기간 주식시장의 평균 수익률 이상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투자를 시작하며 경제 공부를 하던 중 닷컴 버블, 벤처기업 버블에서 PER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때의 PER의 수준은 상상 못 할 정도로 높았다고 합니다.
그럼 미국 주식시장의 평균 PER은 얼마나 될까요?
S&P 500 지수의 평균 PER은 12월 23일 기준으로 18배라고 합니다.
주식 투자는 투자자 개개인의 판단입니다.
자신의 근로소득을 투자할 때는 이 종목으로 친구가 몇% 먹었다더라, 이번 연도에 대세 주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투자를 하지 마시고 이 기업이 일은 잘하는지, 돈은 잘 버는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잘 공부하고 투자하여 좋은 성과 얻길 바랍니다.^^
'기업 분석 > 투자,경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미국,중국,홍콩 증시 거래 시간, 휴장일을 알아보자 (4) | 2020.04.05 |
---|---|
(기업, 국가)부채 란? [쉽게 이해하는 금융, 경제 공부] (4) | 2020.04.04 |
유가 전쟁으로 인한 미국 셰일 업체 첫 파산(F.금융 시장의 위기) (5) | 2020.04.03 |
PBR 이란? [쉽게 이해하는 경제 공부] (2) | 2020.04.02 |
주 52시간 근무제 란? [Feat.법정공휴일 유급휴무] (2)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