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제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국가인 미국을 더욱더 강한 나라로 만들어준
셰일가스
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셰일가스 란?
셰일 가스는 진흙이 수평으로 굳어진 암석층(혈암, shale)에 함유된 천연가스로 넓은 지역에 연속적인 형태로 분포되어 있어 추출이 어렵다는 기술적 문제로 한동안 소외받고 있었으나 1998년 조지 미첼이라는 채굴업자가 트래킹(수압파쇄) 공법을 통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며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세계적으로 확인된 매장량은 187조 5000억 m³으로 이 양은 전 세계가 6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연료 간 비교로는 셰일가스가 1687억 TOE(석유 단위), 석유 매장량은 1889억 TOE로 비슷합니다.
셰일가스가 가져온 최대 산유국 자리의 변화
미국은 셰일 및 치밀 오일에 적극적인 투자와 개발을 하며 결국 2010년도 중반부터 큰 성과를 얻어내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의 전체 석유 생산량은 600만 배럴에서 2017년 현재 1,000만 배럴을 넘겼으며 이 중 셰일 및 치밀 오일의 생산량은 약 600만 배럴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셰일오일 덕분에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유를 생산한다는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를 넘어 현재 최대 산유국으로 올라갔으며 향후 미국의 석유 생산량은 1,200만 배럴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셰일가스가 가져온 미국과 세계 경제의 변화
이러한 미국의 셰일 혁명은 기존 산유국들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소비의 나라로 많이 알려져 있죠? 유류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류 소비량이 세계에서 제일 많은 미국이 셰일 가스를 채취하며 더 이상 수입을 하지 않자 석유 값은 하향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산유국들은 긴장감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쟁국들과 미국 셰일 업계를 누를 기회를 보던 중 석유수출국기구(OPEC)에서 석유 값을 안정화 시키려는 감산 결의안을 무시하고 생산량을 급속히 늘렸고 이에 석유 값은 폭락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미국의 셰일 업계가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이고 러시아, 나이지리아, 보네수에 라, 이란, 캐나다 등 여러 산유국들이 타격을 입으며 심한 경제 위기 맞은 나라들도 생겼습니다.
셰일가스의 문제점
하지만 이러한 셰일가스는 채굴 중 새어나가며 지구온난화가 악화될 거라는 문제점과 지하수, 표층 수로 흘러들어가는 오염물질, 소음, 채취 과정에서 지층을 완전히 균열시켜 지진의 근원이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셰일가스와 대한민국
이렇게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셰일가스에 대한 관심이 나오기 시작하며 우리나라도 셰일가스에 대한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도 셰일가스가 매장되어 있지는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하지만 역시(?) 석유와 천연가스가 없던 것처럼 셰일가스도 거의 없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셰일가스도 수입을 해야 한다는 소리죠.
우리나라는 미국과 셰일가스 수입 계약을 맺었습니다.
미국에서 LNG를 수입하며 우리나라에 2017년까지 350만 톤을 도입하기로 하였고 앞으로 LNG 가격을 15달러로 유지하기로 했으며 셰일가스를 본격적으로 수입하면 12~13달러로 내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적 뿐만아니라 두 국가의 동맹도 더욱 탄탄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일쇼크에 이어 셰일가스에 대해 알아보았고 셰일 혁명이 불러온 경제 상황도 알아봤습니다.
석유와 천연가스도 안 나왔던 우리나라는 역시 셰일가스도 없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참 단군 할아버지가 터를 잘못 잡긴 한듯합니다.. (양옆으로는 중국, 일본이니..)
또 포스팅은 여기서 끝났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업 분석 > 투자,경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52시간 근무제 란? [Feat.법정공휴일 유급휴무] (2) | 2020.03.31 |
---|---|
빅데이터 (bigdata) 란? [쉽게 이해하는 금융,경제 공부] (0) | 2020.03.30 |
경기지역화폐 사용방법/발급방법(재테크 추천, 알뜰 소비) (2) | 2020.03.28 |
GDP 란?[쉽게 이해하는 경제 공부] (0) | 2020.03.27 |
트럼프 재선 가능할까?(미국 대통령 총선) (2) | 2020.03.26 |